반응형
출력
public class datatype {
public static void main (String [] args){
//String : 문자, [] : 배열
//args : 단순 변수명
//System.out.println : 자바의 결과값을 출력시 사용하는 함수.
//System.out.print : 자바의 결과값을 출력시 사용하는 함수. 단, 줄바꿈 X
System.out.println ("홍길동님 안녕하세요.");
System.out.println ("이순신님 반가워요.");
System.out.print ("홍길동님 잘있어요.");
System.out.print ("이순신님 다시만나요.");
String a = "홍길동";
int b = 28;
float c = 177.7f;
/*
float, double : %f
date, time(시간, 날짜) : %t
boolean(true, false) : %b
*/
System.out.printf ("\n%s 님의 나이는 %d살이고 키는 %f cm 입니다.", a,b,c);
출력값 :
홍길동님 안녕하세요.
이순신님 반가워요.
홍길동님 잘있어요.이순신님 다시만나요.
홍길동 님의 나이는 28살이고 키는 177.7 cm 입니다.
}
}
변수
public class var {
public static void main (String [] args){
//변수 : 지속적으로 변하는 수.
/* 선언방식 :
1. 변수만 선언
2. 변수 + 값을 같이 선언
3. 변수확인 사항
*/
// 1번
String a;
a = "홍길동 입니다.";
System.out.println (a); // 출력값 : 홍길동 입니다.
// 2번
String b = "이순신 입니다.";
System.out.println (b); // 출력값 : 이순신 입니다.
// 3번
a = "이순신 입니다."
System.out.println (a); // 출력값 : 이순신 입니다.
// 1번에서 변수 a를 홍길동이라 지정 했지만 같은 변수명으로 지정했을경우 가장 마지막에 지정한 값으로 출력.
}
}
자료형
public class datatype {
public static void main (String [] args){
//12, 123, 1234 ... : 정수
//1.12, 12.34 ... : 실수
//문자형
String a = "1234"; //String : 무조건 문자. " " 사용.
System.out.println (a); // 출력값 : 1234
//정수형
byte b = 127; //byte : -128 ~ 127 까지의 정수. java에서 제일 작은 정수 단위.
System.out.println (b); // 출력값 : 127
short c = 32767; //short : -32768 ~ 32767 까지의 정수.
System.out.println (c); // 출력값 : 32767
int d = 1000000; //int : -2,147,483,648 ~ 2,147,483,647 까지의 정수.
System.out.println (d); // 출력값 : 1000000
Long e = 9999999; // Long : 0이 18개, 기본 메모리 할당에서 추가 적용시 가능 범위 증가. 숫자 뒤에 L 작성
System.out.println (e); // 출력값 : 9999999
//실수형
float f = 3.5f //float : 3.40248xxx...x ~ 38. 소숫점 사용시 숫자 뒤에 f 작성.
System.out.println (f); // 출력값 : 3.5
double g = 44.53234; //double : 1.784xxx...x ~ 308. 숫자뒤 d 작성.(안해도 출력가능)
System.out.println (g); // 출력값 : 44.53234
}
}
사칙연산
public class basic {
public static void main (String [] args) {
int a = 10;
int b = 20;
int c;
//사칙연산기호 : + - * /
c = a + b; // 30 = 10 + 20
System.out.println (c); // 30
c = a - b; // -10 = 10 - 20
c = a * b; // 200 = 10 * 20
c = a / b; // 0 = 10 / 20 //정수형int를 실수형double로 작성시 0.5로 계산출력
}
}
문자열
public class datatype {
public static void main (String [] args){
String a = "홍길동";
String b = "님 환영합니다."
String c;
c = a + b; //문자 형태일 경우, +로 문자 + 문자열로 표현 가능.
System.out.println (c); // 홍길동님 환영합니다.
}
}
문자 + 정수
public class datatype {
public static void main (String [] args){
String a = "홍길동";
byte b = 28;
System.out.println (a + "님의 나이는 " + b + "살 입니다."); // 출력값 : 홍길동님의 나이는 28살 입니다.
}
}
[응용문제]
아마존에서 물건 3가지를 구입하였다.
각각 물건의 가격은 $8.25, $4.02, $3.71 이다.
3가지의 물건 합을 출력하시오.
public class datatype {
public static void main (String [] args){
float a = 8.25f;
float b = 4.02f;
float c = 3.71f;
float total;
total = a + b + c;
System.out.println ("물건의 총 합계는 $" + total + " 입니다."); // 출력값 : 물건의 총 합계는 $15.98 입니다.
}
}
반응형
'Back > JAVA' 카테고리의 다른 글
JAVA Step4-3 (반복문 스캐너) (0) | 2022.06.06 |
---|---|
JAVA Step4-2 (이중 반복문 / 반복문 합계) (0) | 2022.06.05 |
JAVA Step4-1 (반복문) (0) | 2022.06.05 |
JAVA Step3 (스캐너) (0) | 2022.06.04 |
JAVA Step2 (반복문) (0) | 2022.06.04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