Back/Python

    Python 함수이동

    # 편의성 및 함수 이동 방법 # 0001 0002 0003 for number in range(1,30): # zfill : 자동으로 숫자 자리수를 맞추는 함수 print("대기번호 : " + str(number).zfill(3)) # 3자리 마다 , 출력 money = 100000000000 print("{0:,}".format(money)) # 함수 이동 def abc(): bbb() def bbb(): print("함수 이동으로 값을 출력시킴") abc()

    Python 전역변수, 지역변수

    # 전역변수, 지역변수 box = "변수값" box3 = "빈 값" # 최초 전역변수값은 비어있음 # 전역변수는 절대값이 변화가 없음 단, global def afunction(): box2 = "변수값 2" global box3 # 전역변수명을 호출 print(box) print(box2) print(box3) # 전역변수값을 출력 box3 = "변수값 3" # afunction 실행시 box3에 문자값이 입력됨 # 만약 global이 없을 경우는 새로운 지역변수가 생성되며, global적용시 전역변수에 새로운 값을 적용 def bfunction(): print(box) # print(box2) # bfunction 에는 box2 변수가 없음 print(box3) # 변수값3 이라고 출력됨 #단, af..

    Python 함수

    # 함수 def aaa(): # def라는 이름을 가지고 있으며 JS의 funtion과 비슷함 print("함수 호출 완료") aaa() # 함수 즉시 실행 def bbb(a): print("함수 호출 값은 {0}".format(a)) bbb("홍길동") def ccc(b, c): d = b + c return d z = ccc(5, 10) print("결과값은 {0} 입니다".format(z)) money = 100000 def bank(umoney): if umoney > money: msg = "출금하실 금액이 잔액보다 큽니다" else: m = money - umoney msg = str(umoney) + "원 출금 되었습니다. 잔액은" + str(m) + "원 입니다." return msg re..

    Python

    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 응용 문제 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 # 출력 : 2 * 1 ~ 3 * 9 출력 from random import * for a in range(2,4): for b in range(1,10): print(str(a) + "*" + str(b) + "=" + str(a*b)) print(a,"*",b,"=",a*b) print("---------------") data = [1, 2, 3, 4, 5] print(data) data = [i+1000 for i in data] # 배열값에 기존 배열값을 적용하여 산술식으로 배열을 새롭게 구성 print(data) print("---------------") # 다양한 형태로..

    Python 반복문 + 조건문

    from random import * # 반복문 + 조건문 # for문과 if를 사용시, 들여쓰기를 주의 array = [9, 12, 17, 22] for a in range(0, 30): if a in array: array[a] # 할 경우 인덱스 값이 없는 부분도 있기때문에 문법오류 발생함 print(a) continue # 조건에 맞을경우 w++가 적용되어 다음 반복문이 실행 # break # 해당 조건이 맞을 경우 반복문에서 빠져나옴 print("---------------") for b in range(0, 30): if b in array: # 배열값과 반복되는 값이 같을 경우 if b > 20: # 그 외 20이상이 될 경우 break # 반복문 정지 else: # 그 외 print(b) ..

    Python 반복문

    # 반복문 from random import * for a in [1, 2, 3, 4, 5]: print(a) for b in range(10): # 0~9 print(b) for c in range(1, 11): # 1~10 print(c) print("---------------") box = ["red", "blue", "green"] for d in box: print("color : {}".format(d)) print("---------------") w = 1 while w 0: # 범위값 print(ww) ww -= 1 # +=(++), -=(--)와 같음 print("---------------") www = 0 while True: # 루프 사용시 적용 # 초기값있어야함. print("..

    Python 조건문

    # if문 : == {} a = 15 if a == 5: print("숫자 5 입니다.") elif a == 10: # elif == else if print("숫자 10 입니다.") else: print("숫자 15 입니다.") print("---------------") # input == Scanner(java)와 같은 기능 b = input("좋아하는 숫자를 입력하세요.") c = int(b) % 2 # input에 입력된 값은 모두 str로 인식하게 되므로 산술시 int로 변환해야 적용됨 if b == 0: print("짝수") else: print("홀수") print("---------------") person = input("고객 아이디를 입력하세요.") if person == "hong..

    python 난수

    from random import * # 라이브러리 (randomm, randrange, randint(한개) < range(다수)) # range는 배열 범위 데이터를 생성하는 클래스 user = range(1, 21) user = list(user) # range 사용시, set 또는 list로 변환시키고 출력해야 배열 형태로 출력됨 print(user) # shuffle : 배열값을 랜덤하게 순서를 변화시킴 (set은 안됨) shuffle(user) print(user) print("---------------") numbers = range(1, 47) numbers = list(numbers) shuffle(numbers) # sample(배열명, 개수) 배열에서 랜덤하게 개수만큼 뽑아줌 # r..